
Machine Learning/기법
[통계] Likelihood, MLE, 가능도함수, 우도함수
Likelihood(가능도함수, 우도함수) 데이터가 특정 분포로부터 만들어졌을 확률을 뜻한다. x=1,1,1,1이라고 할 때 왼쪽의 분포를 따를 확률이 더 높고 아래와 같은 수식으로 적을 수 있다. L(θ)=p(X∣θ) θ의 파라미터를 가지는 분포 계산 p(xn∣θ)=1√2πσexp{−(xn−μ)22σ2} xn이 θ=(μ,σ)를 가지는 정규분포를 따를 확률 모든 데이터는 독립이기 때문에 그것을 적용하면 아래와 같은 likeli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