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2675 2675번: 문자열 반복 문자열 S를 입력받은 후에, 각 문자를 R번 반복해 새 문자열 P를 만든 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 즉, 첫 번째 문자를 R번 반복하고, 두 번째 문자를 R번 반복하는 식으로 P를 만들면 된다 www.acmicpc.net 나의 풀이 list로 입력값을 받으면 list [0]에는 반복 횟수, list [1]에는 문자열이 들어있다. for문으로 입력값을 받고 이를 반복 횟수만큼 출력함 보기와 같게 나와야하기 때문에 end=''을 사용함 for num in range(int(input())): info = input().split() for word in info[1]: print(word*int(info[0]..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0809 10809번: 알파벳 찾기 각각의 알파벳에 대해서, a가 처음 등장하는 위치, b가 처음 등장하는 위치, ... z가 처음 등장하는 위치를 공백으로 구분해서 출력한다. 만약, 어떤 알파벳이 단어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-1을 출 www.acmicpc.net 나의 풀이 문제 알파벳 소문자로만 이루어진 단어 S가 주어진다. 각각의 알파벳에 대해서, 단어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처음 등장하는 위치를,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-1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 입력 첫째 줄에 단어 S가 주어진다. 단어의 길이는 100을 넘지 않으며, 알파벳 소문자로만 이루어져 있다. 출력 각각의 알파벳에 대해서, a가 처음 등장하는 위치, b가 처음..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9086 9086번: 문자열 입력의 첫 줄에는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(1 ≤ T ≤ 10)가 주어진다. 각 테스트 케이스는 한 줄에 하나의 문자열이 주어진다. 문자열은 알파벳 A~Z 대문자로 이루어지며 알파벳 사이에 공백은 없으 www.acmicpc.net 나의 풀이 문자열이 입력으로 들어왔을 때, 문자열을 첫 글자와 마지막 글자를 출력하는 프로그램 i = int(input()) for _ in range(i): a = input() print(a[0]+a[-1]) 다른 사람의 풀이 int(input)을 변수로 하여 위의 1, 2줄을 한 줄로 표현할 수 있음 for i in range(int(input())): x=input() print(x[0..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2743 2743번: 단어 길이 재기 알파벳으로만 이루어진 단어를 입력받아, 그 길이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 www.acmicpc.net 나의 풀이 알파벳으로만 이루어진 단어를 입력받아, 그 길이를 출력하는 프로그램 입력 pulljima 출력 8 a = input() print(len(a)) 다른 사람의 풀이 print(len(input())) 다음과 같이 한 줄로 작성할 수 있음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27866 27866번: 문자와 문자열 첫째 줄에 영어 소문자와 대문자로만 이루어진 단어 $S$가 주어진다. 단어의 길이는 최대 $1\,000$이다. 둘째 줄에 정수 $i$가 주어진다. ($1 \le i \le \left|S\right|$) www.acmicpc.net 나의 풀이 소문자와 대문자로 이뤄진 S와, 정수 i가 주어졌을 때, S의 i번째 글자를 출력함 입력 Sprout 3 출력 r a = input() i = int(input()) print(a[i-1]) 다른 사람의 코드 s = input() print(s[int(input())-1]) input()으로 들어온 값을 변수에 넣어주고 사용해야 한다고 생각했는데 다음과 같이 저 자체를 변..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1726 11726번: 2×n 타일링 2×n 크기의 직사각형을 1×2, 2×1 타일로 채우는 방법의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 아래 그림은 2×5 크기의 직사각형을 채운 한 가지 방법의 예이다. www.acmicpc.net https://pasongsong.tistory.com/197 나의 풀이 점화식 피보나치와 비슷함 width = int(input()) cache = [0]*1001 cache[1] = 1 cache[2] = 2 for i in range(3, len(cache)): cache[i] = cache[i-1] + cache[i-2] print(cache[width]%10007) 코드 자체는 간결하나 점화식을 찾는데 힘이 듦